들판이 아름다운 이유/기진호
들판이 저렇게 아름다운 것은
아무데서나 살지만
아무렇게나 살지 않는
들풀이 있기 때문이다.
쑥은 정해진 때에 쑥잎을 내고
씀바귀는 뜻에 따라
쓰디쓴 씀바귀 잎을 내고
냉이는 명령대로 냉이꽃을 피워낸다.
작은 꽃일 망정 정성껏 피우고서
있는 힘을 다하여 향기를 발하며 산다.
우리는 이름 모를 들풀을 싸잡아
잡초라고 부르지만
자기의 이름을 불러주지 않고
벌과 나비들이 외면할지라도
서러워하지 않고
그냥 더불어 있음을 감사하며
장미나 백합의 자리를 시기하지 않고
들풀은 들풀대로
아무 데서나 들풀로 살아간다.
'문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카詩/몸빼바지 무늬/공광규 (0) | 2021.08.17 |
---|---|
김포미래신문에 실린 이명옥 시인의 시 한편 감상해보아요. (0) | 2021.08.13 |
여전히 남아 있는 야생의 습관/이병률 (0) | 2021.08.09 |
간결한 그리움/박후기 (0) | 2021.08.08 |
모카커피를 마시며/최하림 (0) | 202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