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나의 세상보기

[스크랩] 천경자 화백의 작품 감상

청포도58 2016. 5. 17. 16:19

○천경자 화백의 작품 감상○



老婦(노부) / 1943 / 117 x 147




놀이 / 1960 / 70 x 64.5 / 종이에 채색




원(園) / 1963 / 130 x 162 / 종이에 채색




靑春의 門(청춘의 문) / 1968 / 145 x 89




세네갈 고래섬 / 1974 / 34.8 x 27.3 / 종이 에 채색




이디오피아의 여인들 / 1974 / 33.4 x 24.2 / 종이에 채색




콩고 킨사샤의 여인들 / 1975 .2




6月의 新婦(신부) / 1977 / 47 x 34




멀리서 온 女人(여인) / 1977 / 34 x 21



수녀 테레사 / 1977 / 53 x 45.5 / 종이에 채 색




미모사 향기 / 1977 / 33.4 x 21.2 / 종이에 채색




탱고가 흐르는 黃昏(황혼) / 1978 / 48 x 43




아그라의 무희(舞姬) / 1979 / 33.4 x 24.2 / 종이에 채색




노오란 산책길 / 1983 / 94 x 74 / 종이에 채 색




괌도에서 / 1983 / 45.5 x 37.9 / 종이에 채 색




어느 여인의 時(시) 1 / 1984 / 60 x 44 / 종 이에




나비소녀 / 1985 / 60 x 44 / 종이에 채색




막간 / 1986 / 40 x 31 / 종이에 채색




발리섬의 소녀 / 1986 / 40.9 x 31.8 / 종이 에 채색




윤사월(閏四月) / 1987 / 25.8 x 17 / 종이에 채색




나바호족의 여인 / 1988 / 41 x 31.5 / 종이 에 채색




아이누 여인 / 1988 / 41 x 32 / 종이에 채색




누가 울어 1 / 1988 / 79 x 99 / 종이에 채색




누가 울어 2 / 1989 / 79 x 99 / 종이에 채색




아파치족의 여인 / 1988 / 31.5 x 41 / 종이 에 채색




막(幕)은 내리고 / 1989 / 41 x 31.5 / 종이 에 채색




캬바레(뉴욕) / 1990 / 24 x 27.5 / 종이에 채색




그라나다의 시장 / 1993 / 37.5 x 45 / 종이 에 채색




소녀와 바나나 / 1993 / 40.8 x 31.5 / 종이 에 채색


 

모자파는 그라나다 여인 / 1993 / 45.5 x 38 / 종이에 채색




불티모어에서 온 여인 1 / 1993 / 38 x 46 / 종이에 채색




불티모어에서 온 여인 3 / 1993 / 41 x 32 / 종이에 채색



그라나다의 여도서관장 / 1993 / 37.5 x 45.2 / 종이에 채색




그라나다의 창고지기 하는 女人(여인) / 1993 / 37.5 x 45.2 / 종이에 채색




처녀(處女)와 석불(石佛) / 1994 / 40 x 30.5 / 종이에 채색




황혼의 통곡 / 1995 / 94.5 x 128.5 / 종이에 채색




스케치-타히티의 소녀 / 1969




 



 

             

                                           【천경자 화백의 1980년 이후작품 】

 


뉴욕 센트럴 파크(81년)


황금의 비(82년)


두상 = 꽃과 여인(1982년)


노오란 산책길(83년)


북해도 영란(83년)


쾀도(83년)


아만다의 그늘(85년)


발리섬의 소녀(86년)


테네시 윌리암스의 집


바람과 함께 살아지다 의 마가렛미첼의 생가(87년)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87년)


나바호족의 여인(88년)


아이누 여인(88년)


아파치족의 여인(88년)


자마이카의 고약한 여인(89년)


막은 내리고(89년)


모자파는 그라나다 여인(93년)


그라나다의 시장(93년)


그라나다의 女도서관장(93년)


그라나다의 창고지기 하는 여인(93년)


소녀와 바나나(93년)


처녀의 석불(94년)


황혼의 통곡(95년)


러시아 써커스단(95년)

 

이양노, 천경자 작품 전시 관람...조선일보와 갤러리 현대에서

천경자(千鏡子, Chun Kyung Ja, 1924년 11월 11일~ )는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1946년 첫 개인전을 연 이래 수많은 전시는 물론 지구를 몇 바퀴나 돌면서 쓴 해외여행기와 수필, 자서전 등 글로도 필명을 날렸던 천경자 화백(전남 고흥 출신)은 전남여고를 거쳐 1944년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46년 광주여고강당에서 첫 개인전을 가진 이후로 수차례의 전시회를 가졌다. 1965년 5월 문예상, 1971년 서울시 문화상, 1975년 3.1문화상, 1979년 예술원상, 1983년 은관문화훈장, 태통령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1999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선정 20세기를 빛낸 한국의 예술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8년 미국으로 이주해 2002년 현재 뉴욕에 거주하고 있다. 천경자의 작품세계는 1942년부터 세계여행을 시작하는 1969년까지를 전기, 그리고 1970년 서초동 시절부터 1990년대까지를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기에는 주로 현실의 삶과 일상에서 느낀 체험을 바탕으로 삶과 죽음 등 자신의 내면적 갈등을 보여 주고 있다. 후기는 외부 자연에 존재하는 것들을 통해 자신의 꿈과 낭만을 실현하려는 시기로 볼 수 있다. 후기는 특히 꽃과 여인을 소재로 환상을 표현하거나 해외 여행에서 느낀 이국적 정취를 통해 원시에 대한 향수를 반영하고 있다. 생애 전남 고흥에서 부친 천성욱과 모친 박운아의 1남 2녀중 장녀로 태어났다. 본명은 옥자(玉子)였다. '경자'라는 이름은 천경자가 센티멘털하던 소녀 취미로 스스로 지어 붙인 이름이라 한다. 그녀는 여동생 옥희와 남동생 규식과 고흥읍에서 어린시절을 보냈으며,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수려한 풍경을 가진 고장은 그녀의 유년기의 감수성을 풍부하게 하는데 한몫하였다. 그녀는 고흥에서 유치원과 고흥 보통학교를 다니며 화가의 꿈을 키웠다. 또한 그녀는 보통학교 시절 교정에서 열린 박람회장에서 소록도 나병원 간호부로 있던 선배 길례 언니를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 이후 길례언니는 천경자의 연작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여인이 되었다. 여학교 졸업반이 되면서 천경자는 동경 유학을 결심하였고, 이듬해인 1940년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지금의 동경여자미술대학)에 진학하였다. 동경에서 그녀는 당시 인물화의 대가라고 이름나있던 이토 신스이의 문하생이 되고 싶어 하였으나, 실패하고 대신 고바야가와 기요시 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노점>이라는 그림을 처음으로 출품하였으나 낙선하였고, 이듬해 반신불수 외조부를 모델로 한 <조부>가 22회 선전에 입선 하게 되었다. 뒤이어 1943년, 외할머니를 모델로 한 졸업 작품<노부>가 마지막 선전에 입선 하고, 고바야가와 선생이 소속한 인물화 단체 청금회전에 입선하였다. 유학시절, 첫 남편 '이철식' 을 만나게 되어 결혼을 하지만(1944) 결혼은 얼마 못가 파경에 이르게 된다. 이후 이철식과는 6.25 전란으로 인해 인연마저 끊어지게 된다. 이 시기의 일은 전남여고 강당에서 개인전을 열었을 때에 처음 만났던 지방 신문기자 김씨 (천경자는 그 남자의 실명을 밝히지 않음)와의 인연, 그리고 여동생 옥희의 이른 죽음 (1951년 28세의 나이)과 더불어 첫 결혼의 실패는 천경자의 삶과 작품세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천경자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화가들이 배출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시대를 대표 하는 작가의 한 명으로서 우뚝하다. 채색화를 왜색풍이라 하여 무조건 경시 하던 해방 이후 60년대까지의 그 길고 험난했던 시기를 극복하고 마침내 채색화 붐이 일고 있는 오늘을 예비했던 그 확신에 찬 작가 정신으로 말미암아 그녀의 존재는 더욱 확고하다. 작품세계 천경자의 그림은 그 자신의 생활감정을 포함하여 자연의 아름다움, 생명의 신비, 인간의 내면 세계, 문학적인 사유의 세계 등 폭넓은 영역을 포괄한다. 그녀의 작품세계에서 중심적인 이미지로 떠오르는 꽃과 여인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아름다움의 대명사로 통한다. 일상적인 감정을 그림 속에 그대로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녀의 그림은 체험 적인 인식의 산물이기도 하다. 그녀의 작품에 나타나는 꽃, 동물 등의 소재를 비롯하여 독특한 색채나 구성 등은 훗날 '천경자 화풍'이라고 일컫는 작품경향으로 이어진다. 그녀의 그림에서 꽃과 여인은 아름다움 그 자체이면서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상징성을 내포 한다. 일상적인 생활감정 뿐만 아니라, 속내를 은유적이고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천경자의 작품은 '자전적'이라는 평과 함께 천경자만의 독자 적인 화풍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그녀의 작품이 '자전적이다'라고 하는 것은 작품 속에 담겨있는 모티프나 전개가 작가 자신에게서 비롯됨을 의미하는데, 거의 모든 작품에서 천경자는 자신의 삶과 꿈, 환상, 동경의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이렇듯 작품에 드러나는 특유의 문학적 감수성과 서정성은 자신의 삶의 경험에 기인한 (자전적)감성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천경자 자신은 이러한 감성을 한마디로 '한(恨)'이라 표현한다. 천경자의 작품에는 인물화가 많은데 특히 여성으로 일관되는 여성시리즈 인물화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자신의 모습을 담은 일종의 '자화상(自畵像) 성격의 인물화'이고 또 하나는 일상생활 이나 여행을 통해 만난 '실재 인물들을 대상으로 그린 인물화'이다. 천경자의 인물화에 나타나는 여인들은 단순히 작품 소재만이 아닌 바로 작가 자신의 투영된 모습즉 분신(分身)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작품에 등장하는 수많은 여인들의 묘사를 통해 새로운 유형의 '생명체'를 그려왔고, 또 이것이 천경자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분신으로 탄생되는 수단이 되어 인물화는 그의 내면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천경자의 작품에는 다른 작가들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작품 세계가 있는데 바로 여행을 통해 제작한 '풍물화'들이다. 이 작품들은 작가가 30여 년간 다녔던 해외 여행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 이국에서 접했던 이색적인 자연과 풍물들을 스케치를 통해 꼼꼼히 기록한 후 여행에서 돌아와서 오랜 제작시간을 거쳐 여행의 감흥과 회상을 되살리면서 거의 완벽에 가깝게 치밀하고도 독특한 채색작업을 통해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시킨 것이다. ~ 웹발췌-

출처 : 시나브로
글쓴이 : Simon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