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저번에 시어머님이 깍아서 주신 밤을 찜통에서 쪘습니다.
꿀을 찍어먹으려다가 앗.~ 다다다 굳었다.~어찌 된 것인가??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잖아요..~
알아야 할 것이 참으로 많기도 합니다. 에잇.~~귀찮아. 또 뭘 알아야하는가??
혹시 가짜?? 아니구요.~
알아둬야 할 것 같아서 포스팅합니다.
벌꿀을 보관할 때 온도는 영상 15도까지랍니다.
나는? 이대표가 쓰던 방쪽 발코니에 두었으니 온도는 낮았을 것이고.~
낮은 온도에서는 꿀 안의 포도당이 뭉치는 결정 현상이라는 것이 일어나서 그렇답니다.
이를테면 목본류(아카시나 밤꿀)보다 포도당 함량이 높은 초본류(야생화)에서 결정이 보인다고 합니다.
예로부터 토종꿀이 양봉굴에 비해 결정 현상이 발생한다고 해요.
건강식품으로 또 가정상비약으로 사용되어 왔고 외국에서는 천연크림꿀이라고 해서 높은 품질로 인정된다고 합니다.
그.그래??
쪄놓은 뜨끈한 밤에다 굳어버린 것 같은 꿀 한숟가락을 놓았더니 어느새 녹아버려서 맛있게 먹긴 했습니다.
예전 동네의 동네 친구는 시댁에서 지리산 양봉을 크게 했어요.
언제나 한 병씩 선물을 줘서 오랫동안 잘 먹었는데 그 꿀은 오래도록 액체던데??
그렇다면 그 꿀은 밤꿀이나 아카시 꿀이었을까요?
나의 고정 관념은.~~ 꿀이라하면 줄줄 녹아내린 숟가락으로 떠서 먹는 액체같은 것.~~ 으로 알고있는데.~~ 참 내.~~
다음부터는 잡화꿀은 구입하지 않겠어요. 아무리 효능에는 문제가 없다고 해도 나는 줄줄 흘러내리는 꿀이 좋습니다.
그런데
왜 또 먹었을까요?
가끔씩 이런 날이 있습니다. 먹고 싶은 걸 다 먹는 날.~~
퀘세라세라인 날.~~^^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대표의 간식을.~ (0) | 2022.02.14 |
---|---|
다시 바다가 있는 곳으로 go go.~ (0) | 2022.02.14 |
우리 연준이와 1박2일을.~ (1) | 2022.02.12 |
공원의 장미 화원.~바람만 막아주면 되는 것인가? (0) | 2022.02.08 |
작고 귀여운 꽃.~ 내 이름은 카랑코에입니다. (0) | 2022.02.04 |